안녕하세요 천리안입니다
오늘은 자금이 넉넉하지 않은 신혼부부들이 투자하기 좋은
서울 6억대 아파트 두곳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상계주공 7단지와 12단지는 서울 노원구 상계동에 위치한 대단지 아파트로
최근 재건축 이슈와 종상향 이슈로 투자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있는데요.

상계주공 7단지 / 준공연도: 1988년 7월
세대수: 2,634세대
용적률: 196% / 건폐율: 13%
보시는바와 같이4,7호선 더블 역세권에 백화점등 상권이 잘 형성돼 있습니다

상계주공 12단지 / 준공연도: 1988년 10월
세대수: 1,739세대
용적률: 196% / 건폐율: 15%
보시는바와 같이7호선역세권에 초품아 및 중고등학교 공원 등이 잘 형성돼 있습니다
투자메리트
-두 단지 모두 초역세권으로 상업시설 접근성이 우수하여 생활 편의성이 높습니다.
-두 단지 모두 준공된 지 30년 이상으로 재건축 대상이 될 수 있고 최근 정부에서 역주변 종상향 까지 거론되고 있습니다.

투자 방법은 2가지!
갭투자와 실거주(몸테크..!)
갭투자 시 필요한 투자금

-7단지 예시: 25평기준 매매가 6.4억 - 전세가 3억 으로 세금 및 기타 비용포함 3.5억에서 4억 정도 필요합니다

-12단지 예시: 28평기준 매매가 6.6억 - 전세가 3.3억 으로 세금 및 기타 비용포함 3.5억에서 4억 정도 필요합니다
아무래도 구축이다보니 전세가격이 받쳐주지못해 갭투자는 적합해 보이지 않네요.
그렇다면 어쩔수 없이 몸테크뿐인데요 (오랜된 아파트인 만큼 녹물이 나온다고 합니다)
실거주시 대필요한 투자금과 효율적인 대출 방법
-7단지 : 25평기준 매매가 6.4억 - 대출 4.5억 으로 세금 및 기타 비용포함 2억에서 2.5억 정도 필요합니다
-12단지 예시: 28평기준 매매가 6.6억 - 대출 4.6억 으로 세금 및 기타 비용포함 2.2억 정도 필요합니다
효율적인 대출 방법: 신혼부부가 살기 적합한 만큼 신생아 특례대출을 활용한다면 저금리로 매수 가능합니다.
갭투자든, 실거주 몸테크든 재건축 호재가 있는만큼
투자가치는 확실해 보입니다. 특히 자금이 여유롭지 않은 신혼부부들이
서울에 내집마련으로 신혼생활을 시작할수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수요층과 메리트는 분명합니다

더군다나 최근 서울 지하철 7호선 노원역, 마들역, 하계역, 은행사거리역(동북선) 인근 아파트 단지에 좋은 이슈가 나오고 있는데요.
서울시는 역 주변 아파트에 ‘복합정비구역’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역세권(승강장 250m 이내)에 업무·문화·상업시설이 어우러진 고밀복합개발을 유도하겠다는 전략인데요.
복합정비구역으로 지정되면 준주거지로 종상향해 단지 전체의 용적률을 400%, 높이를 180m까지 높일 수 있습니다.
상계주공 단지의 단점으로 뽑혔던 용적률과 사업성이 대폭 상승해서 재건축 투자의 메리트가 높아졌습니다.
결론
7단지가 대형 쇼핑시설과 인접해 있어 상업 시설 접근성이 우수합니다.
12단지는 이러한 대형 상업시설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 수 있습니다.
하지만 12단지는 주변에 공원이 있어 자연 환경이 우수합니다.
상계주공 7단지와 12단지는 각각의 장점과 우수한 입지, 생활 편의성을 갖추고 있어 투자 가치가 높습니다.
투자나 거주 목적에 따라 선호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개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선택하여 투자하시면 될듯합니다.
투자 시에는 각 단지의 재건축 추진 현황과 지역 부동산 시장 동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개인의 재무 상황에 맞는 대출 상품을 선택하여
효율적인 자금 운용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도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머니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허제 피한 마포, 풍선효과! "마포 래미안 푸르지오" 호가 줄줄이 상승 (2) | 2025.03.24 |
---|---|
대출이자 0.2% 낮춰주는 "부동산 전자계약", 하는방법과 장점, 단점 및 주의할 점! (0) | 2025.03.23 |
토허제 첫날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 9억 낮춰 계약서 썼다. 토허제 하루 만에 대혼란 (0) | 2025.03.21 |
1980~2000년대 지어진 "현대아파트"가 전국적으로 많은 이유 (2) | 2025.03.20 |
강남3구·용산 '토허제' 35일만에 번복할수밖에 없던 이유! 앞으로 서울 집값의 향방은? (1)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