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침부터 "S&P500 조정장 진입" 이란 뉴스가 눈에 들어온다
특히, 잘 버티던 애플도 4일간 12% 급락했다.
이 모든 게 트럼프 때문일까?
누굴 탓해야 할지 분석해 봤다!
-미국 증시 조정, 트럼프 때문일까?
일부에서는 증시 하락의 원인으로 트럼프를 지목하기도 하지만
사실 증시는 트럼프가 아니더라도 조정을 받을 만한 위치였다는 게 내 생각이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 증시의 조정 원인과 그 근거를 분석해 보겠다.
1. 모두가 돈을 벌 수 없다
미국 증시는 2023년 시작과 동시에 지금껏 강한 상승세를 보였다.
S&P 500과 나스닥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밸류에이션이 역사적 평균을 넘어선 상태다.
투자심리가 극도로 낙관적으로 변하면서 너도나도 미국을 찬양하기 시작했고 주가는 비정상적으로 상승했다.
문제는 대부분의 서학개미들이 이 상승장에 해외주식을 시작했다는 점이다.
지나친 상승은 결국 차익 실현 매물을 부를 수밖에 없고 이는 트럼프와 무관하게 자연스러운 시장의 하락이라고 생각된다.
2. 주식은 첫째도 실적 둘째도 실적이다
2023년부터 시장은 강한 랠리를 보였지만, 기업 실적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면 조정은 불가피하다.
특히 테슬라, 애플 등 주요 기업들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기술주 중심의 매도세가 나타났다.
또한, 트럼프 관세 전쟁우려로 기업 투자 위축이 불가피하다.
이는 증시 하락의 2번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3. 지난 역사를 잊었다
지난 글에도 다룬 적 있지만 코로나 이후 주식 입문자가 상당하다.
하지만 찬양받는 미국주식도 역사를 보면 미래가 보인다.
역사는 2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0년 당시 4800p이던 나스닥 지수는 2015년까지 4800p를 회복하지 못했다.
무려 15년 동안 수익률이 -였던 거다.
과연 15년을 우린 버틸 수 있을지 생각해봐야 할 부분이다.
결론: 작년에 일부 매도하고 추매 하지 않고 있다
트럼프와 무관하게 나는 2024년 부동산 매매를 위해 수익이 높은 미국주식 일부를 매도했다.
매도 후에도 그 주식들은 많이 상승했지만 예상했던 상승이기 때문에 속은 덜 쓰렸다.
그리고 지금의 하락도 예상했던 하락이다.
워런버핏이 대단한 이유는 단기 수익률이 가장 높진 않지만 위기에서 가장 빛이 난다
나는 관망 후 주가가 더 떨어지면 공포에 추가매수를 해보려고 한다.
다들 너무 성급하게 추가매수를 하지 않길 바란다.
'머니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계약할 때 좋은 공인중개사 고르는 현실적인 꿀팁 (1) | 2025.03.15 |
---|---|
부동산 투자 할때 이것만은 반드시 알고 투자하자! 부자만 아는 아파트 매수법 (2) | 2025.03.15 |
주택담보대출 받아서 부동산 매매 vs 신용대출 받아서 주식 투자, 어떤게 더 많은 돈을 벌수있을까? (1) | 2025.03.13 |
생활속 절세 꿀팁, 개인사업자 스타벅스도 비용처리 가능하다? 알아두면 좋을 절세 팁! (1) | 2025.03.12 |
반토막난 테슬라 주가, 장 시작과 동시에 8% 급락! 적정 추가매수 구간은 얼마? (3) | 2025.03.11 |